UX 기획 및 리서치
#Lean UX 프로세스
- Lean UX 프로세스가 널리 활용되는 이유
- 클라우드의 발전으로 실시간 협업이 활발해졌어요.
- 분석 툴의 발전으로 데이터를 통해 임팩트를 측정하기 용이해졌어요.
- 치열한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에 적합해요.
MVP(Minimum Viable Product) : 최소 기능 제품
최소한의 리소스로 앞으로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 지 판단할 수 있어요.
#데이터 드리븐 UX등장 배경
직관 추측에 의존 → 데이터 기반 가설 설정과 검증
제품을 만들기까지 많은시간과 비용 소모 → MVP를 빠르게 내놓고 데이터를 살펴 꾸준히 개선
소수를 대상으로 하는 정성적 리서치의 한계 → 실제 행동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리서치로 보완
#데이터 드리븐 UX 중요성
데이터 드리븐 UX는 디자이너가 홀로 작업할 때 뿐만 아니라 협업 할 때, 그리고 산출물의 임팩트를 측정할 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요.
*디자이너 관점
- 유저 데이터의 해석을 바탕으로 디자인 산출물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어요.
*커뮤니케이션 관점
- 데이터는 타 조직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공용어 역할을 해요.
*비즈니스 관점
- 디자인 산출물이 비즈니스에 얼마나 기여하는 지 파악할 수 있어요.
*데이터 드리븐 UX에서 활용되는 지표 예시
- 유저 관여도 관점 (Engagement)
- 얼마나 많이 이용하는가? - DAU, WAU, MAU
- 얼마나 자주 이용하는가? - DAU/MAU, DAU/WAU
- 유저 재방문 관점 (Retention)
- 특정한 특성의 유저들이 재방문하는가? - 코호트 리텐션
- N일째 된 유저들이 재방문하는가? - Day N 리텐션
- 유저 획득 관점 (Acquisition)
- 얼마나 보는가? - 페이지 뷰 수, 클릭 뷰 수
- 얼마나 획득되는가? - 전환율, 이탈율
📌실제 유저 행동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앞으로 어떤 제품 개선을 해나갈 지에 대한 논리적인 인사이트를 얻음과 동시에 비즈니스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.
카테고리 없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