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UX 기획 및 리서치

UX 기획 및 리서치 학습일지 5주차

사용성 테스트의 개념과 중요성

 

사용성 테스트의 개념

사용성 테스트(Usability Test; UT)는 프로토타입이 있다면 제품 개발 단계 중 언제든 활용할 수 있어요.

  •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 사용할 때 의도한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크를 수행하는 지, 문제점은 없는지 관찰하기 위해 진행해요.
  •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떤 혼란을 겪는지 파악할 수 있어요.
  • 제품 개선 전에 진행하면 유저가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고, 제품 개선 후에 진행하면 유저가 실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요.

사용성 테스트의 중요성

  • 사용성 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우리가 사용자가 아니기 때문이에요. 오히려 우리는 프로젝트에 대해 너무 많이 알기 때문에 편향을 가지고 있어요.
  • 유저가 화면을 직접 조작하면서 마주치는 문제를 식별할 수 있어요. 이를 통해 디자인을 유저 중심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.
  • 예산이 제한적이거나 시간이 촉박한 경우에 캐주얼하게 카페에서 진행하는 사용성 테스트로도 유용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어요.

사용성 테스트 준비

 

사용성 테스트의 구성 요소

 

  • 진행자 (Moderator)
    • 참가자에게 사용성 테스트의 목적과 절차를 안내해요.
    • 참가자들이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요.
    • 참가자에게 테스크를 지시하고 테스크를 수행하는 참가자를 관찰해요. 동시에 참가자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해요.
  • 테스크 (Task)
    • 참가자가 테스트 과정 중에 현실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돼요.
    • 테스크 지시는 참가자에게 구두 또는 안내지로 전달될 수 있어요.
    • 참가자가 수행할 테스크를 직접 소리 내어 읽도록 안내하기도 해요. 이렇게 하면 참가자는 이해도를 높이고, 관찰자는 현재 진행 중인 테스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돼요.
  • 참가자 (Participant)
    • 참가자는 유저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해요.
    • 이미 출시된 제품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때는 참가자가 해당 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, 유사한 경험이 있는 것이 좋아요.
    • 아직 출시되지 않은 제품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때는 참가자가 유저 페르소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.
    • 프로젝트 지식이 있는 내부 구성원이나 페르소나와 완전히 무관한 사람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면 좋은 데이터를 얻을 가능성이 낮아져요.
  • 관찰자 (Observer)
    • 사용성 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 참가자의 행동과 반응을 관찰하고 기록해요.
    •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에 진행자와 함께 들어가서 기록하기도 하고, 원격으로 참가자의 화면과 참가자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기록하기도 해요.

 

  • 테스트 공간에서 참가자와 진행자가 테스트를 진행해요.
  • 관찰 공간에서 관찰자들이 테스트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기록해요. 관찰자들은 참가자가 어떤 말을 하면서 화면을 조작하는 지 알 수 있어야 해요.
  • 테스트 공간이 따로 구비되어 있는 조직의 경우 단방향 거울을 활용하기도 해요. 관찰 공간과 테스트 공간에는 단방향 거울이 있어서 관찰 공간에서는 테스트 공간을 볼 수 있지만, 테스트 공간에서는 관찰 공간을 볼 수 없어요.
  • 줌과 구글밋 등을 활용하여 원격에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해요. 실시간으로 참가자의 얼굴과 참가자가 조작하는 화면을 보면서 진행자가 질문을 할 수 있어요.
  • 별도의 관찰 공간이 없는 경우 테스트 공간에 진행자와 서기를 담당하는 관찰자 1명이 들어가기도 해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