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UX 기획 및 리서치

UX 기획 및 리서치 학습일지 5주차(3)

제이콥 닐슨의 휴리스틱 평가 방법

 

휴리스틱 평가 이해하기

 

휴리스틱 평가(Heuristic Evaluation)란, 전문가가 인터페이스를 검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발견하는 방법이에요.

  • 사용성 테스트와는 달리 유저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, 디자이너나 사용자 경험 전문가가 특정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평가해요.
  •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적용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.
  • 전문가 중심의 평가이기 때문에 실제 유저의 경험을 완벽하게 대변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요.

제이콥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 평가 항목

 

- 휴리스틱 평가 중 닐슨 노먼 그룹의 제이콥 닐슨이 1994년 개정한 10가지 휴리스틱 평가(10 Usability Heuristics)가 제일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어요.

 

시스템 상태 가시성(Visibility of System Status)

유저가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정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가?

예시 : 텍스트 필드의 focused 상태

 

시스템과 실제 세상 매칭(Match Between System & Real World)

사용되고 있는 아이콘, 문구, 메뉴명이 실제 생활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제공되고 있는가?

예시 : 친숙한 메타포의 아이콘과 메뉴명

 

유저의 선택권 및 자유도(User Control and Freedom)

유저가 서비스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가?

예시 : 실행 취소 기능

 

 

일관성과 규정(Consistency and Standards)

여러 개의 화면에서도 일관성있게 제공하고 있는가?

예시 : 일관성을 유지하는 우버의 디자인 시스템

 

에러방지(Error Prevention)

사용하면서 실수를 최대한 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가?

예시 : 명확한 터치 영역

 

기억보다는 인지(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)

서비스를 사용할 때 학습을 하거나 별도의 기억을 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?

예시 : 상품을 찾고 장바구니에 담는 과정

 

유연성과 효율성(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)

서비스 대상 모두가 사용할 수 있게 제공되고 있는가?

예시 : 스포티파이의 이퀄라이저 개인화 및 자동차 모드

 

심미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 (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)

최소한의 디자인을 통해 심미성을 잘 느낄 수 있게 제공되고 있는가?

예시 : 최소한의 디자인 요소로 정보를 제공하는 에어비앤비 숙소 리스트 화면

 

유저가 에러를 전달할 때 상황, 이유, 해결책을 말하기 (Help Users Recognize, Diagnose, and Recover from Errors)

에러가 발생했을 때, 유저가 잘 인지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는가?

예시 : 회원가입 시 비밀번호 설정 가이드 문구

 

문제 해결과 문서화 (Help and Documentation)

유저에게 충분한 도움말을 제공하고 있는가?

예시 : 고객센터의 FAQ